Swift (34) 썸네일형 리스트형 [Concurrency] 천천히 알아보는 Task.detached(),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 안녕하세요!저번에 Task에 대한 글에서, detached는 따로 자세히 다뤄보자고 했었죠?이번 글에서는 detached에 대해 깊이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얼마 전에 앨런 Swift Concurrency for Swift 6 (Part-1) 강의를 듣다가, 이런 설명을 들었어요. " 내부Task에서 부모Task와 다른 우선순위를 적용하려면 detached를 사용해야 한다." "어? 그럼 내부 Task에서는 우선순위를 따로 설정하는건 적용이 안 되는 건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그래서 직접 실험해보았는데요! 아래처럼 내부 Task에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실행해보았어요.let task = Task(priority: .high) { print("부모.. [Concurrency] Task 톺아보기 안녕하세요!요즘 Concurrency 스터디를하고 있는데요! 스터디를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시리즈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ㅎㅎ이 글은 Swift Concurrency를 공부하는 초급~중급 iOS 개발자를 대상으로 작성되었습니다.Task의 개념부터 실전 활용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두었으니, Concurrency를 익히고 싶은 분들께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들어가며..앱을 개발하다 보면 네트워크 요청, 데이터 처리, 파일 입출력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이러한 작업을 UI를 담당하는 메인 스레드에서 동기적으로 실행하면, 앱이 멈추거나 사용자가 아무런 반응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그래서 지금까지는 GCD(Grand Central Dispatch)나 Operation.. [Swift] Split과 Components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비슷하게 문자 자르는 역할을 하는 Split과 Components의 특징과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mponents Parameters 매개변수가 seperator 하나만 있으며 매개변수로 받은 seperator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 Return Type String을 받고 return을 [String] 형태로 반환 Foundation 프레임 워크 components는 Foundation 프레임 워크에 속해있기 때문에 Foundation을 import 해야만 사용할 수 있음 import Foundation let str = "My name is Sojin" var result = str.components(seperatedBy: " ") print(result) // .. [Swift] Method 랑 Computed Property 중 어떤걸 사용해야할까? 안녕하세요! FastCampus 강의를 듣다가 Method와 Computed Property가 유사한 역할을 하는데, 각자 어떤 상황에 써야 적당할지?를 이야기 해주셔서 들고 왔습니다!! 제가 들었던 유로 강의 중에 제일 좋았던 강의인 것 같아요! 문법 부분도 쉽고 중요한 부분을 설명 잘 해주시고, 실습하는 것들도 모두 유용한 것들입니다!! 유로강의 찾으시면 꼭 한번 살펴보셔요!! 패스트 캠퍼스 - iOS 앱 개발 올인원 패키지 Online 프로퍼티와 메소드는 아래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Property - 호출시 (저장된)값을 하나 반환한다 Method - 호출시 어떤 작업을 한다. 그럼 하나를 반환할때 프로퍼티를 사용하는건가..? 메소드를 하나만 반환하면 같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면서 잘 이해.. [Swift] Guard문 안녕하세요 소진입니다 :) 오늘은 Guard문에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해당 글은 꼼꼼한 재은씨 Swift: 문법편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guard & assert 애플리케이션이 동작 도중에 생성하는 다양한 결과값을 동적으로 확인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확인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guard 문 if문과 마찬가지로 주어진 표현식의 결과가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구문의 실행 여부를 결정짓는 방식의 조건문 보통 함수나 메소드에서 사용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경우, 전체 구문을 조기 종료(Early Exit)하기 위한 목적 guard의 else 블럭 내부에는 특정 코드블럭을 종료하는 지시어 (return, break 등)가 꼭 있어야 함 타입 캐스팅, 옵셔널과도 자주 사용 그 외 단순.. [Swift] Enum - 열거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Enum 열거형에대해 공부해보도록하겠습니다 :) 해당 포스팅은 꼼꼼한 재은씨 Swift: 문법편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Enum 상속 불가 값 타입 (값이 없을 수도 있음. 즉 이름 그 자체 만으로 고유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음) 유사한 종류의 여러 값을 유의미한 이름으로 한 곳에 모아 정의한 것 예) 요일, 상태값, 월(Month) 열거형 자체가 하나의 데이터 타입 열거형의 case 하나하나 전부 하나의 유의미한 값으로 취급 정의 및 구현 enum 열거형 이름 { //열거형 멤버 정의 case 멤버값 1 case 멤버값 2,3 // 한꺼번에 멤버 선언도 가능 case ... } 열거형 타입을 생략할 수 있을 때와 없을 때 1. 열겨형 타입으로 정의된 변수에는 열거형 타입명을 .. [Swift] 생성자(initializer) 생성자란?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의 형식과 할 일을 정의한다고 하여 생성자라고 부릅니다. 클래스가 객체화 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메소드를 지칭합니다. ( 객체의 인스턴스를 만드는 메소드) 스위프트 초기화 혹은 생성자는 init 이라는 키워드의 메소드가 담당합니다. init은 구조체와 클래스 모두에서 지원되는 기능입니다. 일반 메소드 정의와 다르게 func 라는 키워드가 필요 없습니다. 생성자는 init() 형태로 작성되며, 필요하면 argument를 추가해서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초기화 메소드 init() 형식 init( : , : , ... ) { 1. 매개변수의 초기화 2. 인스턴스 생성 시 기타 처리할 내용 } 초기화 구문 = 초기화 메소드 초기화 메소드는 대표적인 특성이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 [Swift] Method (메소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Method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이 글은 꼼꼼한 재은씨 Swift: 문법편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Method 일종의 함수로서, 클래스나 구조체, 열거형과 같은 객체 내에서 함수가 선언될 경우를 말합니다. 즉, 특정 타입의 객체 내부에서 사용하는 함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함수와 메소드의 차이점? 독립성 - 함수는 독립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짐 연관성 - 하나의 객체 내에 정의된 다른 메소드들과 서로 협력하여 함수적인 기능 수행 종류 Instance Method (인스턴스 메소드) 객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 주어진 객체의 인스턴스와 함께 특수한 임무나 함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캡슐화된 메소드 틀을 이용하여 만들어낸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것에 ..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