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76)
글또 마지막 글을 제출하며... 24년 10월, 저에게는 크나큰 도전이었던 글또와 함께한 6개월이라는 시간이 빠르게 지나갔고, 벌써 글또 10기의 마지막 글을 제출합니다.언제나 마지막이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싱숭생숭해지고 아쉬움이 남는데요. 하지만 끝이 아닌 시작이라고 생각해보려 합니다!글또에서 얻은 습관들과 인연을 유지하는 것은 제가 하기 나름이기에 아쉬움은 잠시 뒤편에 두고 더 나은 삶과 관계를 이어가고 싶어요ㅎㅎ주저리주저리 그만하고, 그럼 회고를 시작해볼까요!!글또 10기 다짐, 목표 얼마나 이뤘어?글또 10기 시작을 다짐글로 열었으니, 초기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부터 확인해봐야겠죠?글을 가끔 열어보긴 했는데, 막상 목표 달성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려니 조금 떨리네요...아래는 글또 다짐글에서 이번 활동 목표만 떼서 가져와 봤습니다..
[Concurrency] 천천히 알아보는 Task.detached(),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 안녕하세요!저번에 Task에 대한 글에서, detached는 따로 자세히 다뤄보자고 했었죠?이번 글에서는 detached에 대해 깊이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얼마 전에 앨런 Swift Concurrency for Swift 6 (Part-1) 강의를 듣다가, 이런 설명을 들었어요. " 내부Task에서 부모Task와 다른 우선순위를 적용하려면 detached를 사용해야 한다." "어? 그럼 내부 Task에서는 우선순위를 따로 설정하는건 적용이 안 되는 건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그래서 직접 실험해보았는데요! 아래처럼 내부 Task에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실행해보았어요.let task = Task(priority: .high) { print("부모..
[Concurrency] Task 톺아보기 안녕하세요!요즘 Concurrency 스터디를하고 있는데요! 스터디를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시리즈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ㅎㅎ이 글은 Swift Concurrency를 공부하는 초급~중급 iOS 개발자를 대상으로 작성되었습니다.Task의 개념부터 실전 활용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두었으니, Concurrency를 익히고 싶은 분들께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들어가며..앱을 개발하다 보면 네트워크 요청, 데이터 처리, 파일 입출력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이러한 작업을 UI를 담당하는 메인 스레드에서 동기적으로 실행하면, 앱이 멈추거나 사용자가 아무런 반응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그래서 지금까지는 GCD(Grand Central Dispatch)나 Operation..
혼자 자라면 풀, 함께 자라면 숲! - "함께 자라기"를 읽고 자! 자라고, 함께 성장하자! 요즘 글또 10기 활동을 하면서 성윤님 추천으로 '함께 자라기' 책을 알게 되었습니다!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이미 유명한 책이라고 하더라구여.. 👀)평소에 함께 성장하는 과정을 좋아하는 저에게 '함께 자라기'라는 키워드는 정말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사실, 글또라는 커뮤니티 자체가 '함께 자라기'의 좋은 예시가 아닐까 싶었고요.혼자만의 성장도 물론 중요하지만, 함께 배우고 서로에게 시너지를 주면서 성장하는 것만큼 이상적인 경험이 또 있을까요?저는 어떻게 하면 더 잘 함께 성장할 수 있을지 배울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읽기 시작했습니다.책은 “자라기”, “함께”, “애자일” 이렇게 세 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자라기”와 “함께” 챕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
iOS 개발자를 위한 세션과 JWT의 차이점: 기억하는 자 vs. 증명하는 자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요즘 서버 측 인증 방식이 궁금해서 공부해보았습니다.JWT와 세션(Session)은 많이 사용되는 인증 방식으로, 각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iOS 개발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어떤 방식이 더 좋은지 알고 싶었지만, 공부하면서 인증이 처리되는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개발 과정에서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이 글에서는 JWT와 세션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각각의 특징을 같이 알아보아요 :)JWT(JSON Web Token)JSON 객체를 이용해 정보를 안전하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인증(Authentication)과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특히, 무상태(Stateless)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인증 상..
Git은 어떻게 동작할까? 네 가지 객체로 이해하는 Git 구조 안녕하세요!이번 글에서는 Git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네 가지 객체(Blob, Tree, Commit, Tag)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왜 Git 내부 구조를 알아야 해?Git을 사용하다 보면 git add, git commit, git push 같은 명령어는 너무나 익숙하죠.하지만 우리가 Git을 사용할 때, 이게 내부적으로 어떤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지 고민해 본 적 있나요? 🤔Git은 단순한 파일 저장 도구가 아니라, 객체 데이터베이스(Object Database)라는 시스템을 사용해 데이터를 관리합니다.이 구조를 이해하면 버전 관리 실수를 줄이고, 협업 과정에서 Git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Git의 데이터 저장 방식Git의 객체 데이터베이스(Obje..
Git, 깃미남과 함께라면 무섭지 않아! (+글또❤️‍🔥) 안녕하세요!오늘은 글또와 함께한 깃미남 특강 후기를 들고왔습니다 ㅎㅎGit 강의요!!? 당장 신청할게요! 글또 채널에 올라온 Git 강의 수요조사..평소 Git 사용이 어렵다고 느꼈던 저로서는 안 들을 이유가 없었습니다.더군다나 iOS 개발을 혼자 하고 있다 보니 Git 환경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고,추후에 협업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꼭 배워야겠다고 결심했죠..Git 병아리인 내가 과연 강의를 따라갈 수 있을까...?사실 저는 스스로 Git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강의를 잘 따라갈 수 있을까 걱정이 앞섰습니다.뭔가 참고 자료나 사전 지식들을 고지해주시면 좋을텐데... 와아!! 다행히 깃미남님께서 강의 전에 기본으로 알면 좋은 내용과 참고 자료를 올려주셨습니다.자료 참고 여부는 ..
iOS 데이터 저장 방식 알아보기 - SwiftData 안녕하세요!데이터 저장방식의 마지막! SwiftData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외 다른 저장 방식에 대한 글을 보고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iOS 데이터 저장 방식 알아보기 - 개념편iOS 데이터 저장 방식 알아보기 - UserDefaultsiOS 데이터 저장 방식 알아보기 - File SystemiOS 데이터 저장 방식 알아보기 - Core DataSwiftData란?SwiftData는 Apple이 제공하는 최신 데이터 저장 프레임워크로, 기존의 Core Data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SwiftData는 SwiftUI와 완벽히 통합되었으며, 데이터 스키마 정의와 변경 사항 추적 같은 작업을 더욱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Core Data의 입증된 지속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