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ㅎㅎ
이번 글에서는 기술 블로그 글쓰기와 관련된 강의를 듣고, 저의 경험과 생각을 녹여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예상 독자
1. 기술 블로그 글을 쓰는 것이 어려운 분
2. 체계적인 글 작성을 하고 싶은 분 (파이프라인)
대체 어떤 글이 좋은 글이야?
저는 글또라는 글쓰는 개발자 커뮤니티 활동을 시작한 초기에 "좋은 글이란 무엇일까?"라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그전까지는 다른 블로그에서 좋아 보이는 점들을 생각 없이 따라 하기만 했지, 글쓰기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을 깊게 해본 적은 없었습니다. 아마도 "내 글은 어차피 많이 안 볼 거야"라는 생각으로 블로그를 작성했던 게 이유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
고민은 시작했지만, 평소에 막연히 "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을 쓰자"라고만 생각했기 때문에 갈피를 잡지 못하고 시간이 많이 흘렀습니다. 그러던 중 카일 스쿨의 글쓰기 강의를 듣게 되었고, 여러 가지 고민이 한층 해결되었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글쓰기의 주요 어려움과 해결 방안
1. 글이 만족스럽지 않음
: 내가 좋다고 생각하는 글의 특징을 찾아 기준을 정해보기
2. 소재가 안 떠오름
- 일상에서 틈틈이 생각해보고 메모하기
- 회사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내 식으로 가공해서 글에 활용하기
- 당장 쓰고 싶은 주제는 바로 글로 쓰기
3. 타인에 대한 의식
: 눈치 보지 말자. 생각보다 사람들은 내 글에 큰 관심이 없다...!
내가 좋다고 생각한 글들의 특징을 적어보자!!
1. 개념 관련 글
- 왜 이 개념을 소개하는지/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지 제시
- 설명 및 특징 : 코드 예시, 도표, 이미지 적극 활용
- 활용한 프로젝트
- 개념 정리하면서 느낀 점
2. 오류 관련 글
- 왜 문제가 생겼는지에대한 설명
- 해결 방법 여러가지 2~3개 중 1개 선택: 왜 선택했는지 설명 필요
- 특정 문제의 중요성
- 오류 해결하면서 느낀 점
3. 기술/ 기능 관련 글
- 기능이 어떤 부분에서 사용되는지 왜 다루게 됐는지 설명
- Document에서 해당 함수/기능 정의 설명(보통 사용 방법을 정확히 알려줌).
- 위 내용을 직접 활용해서 적용해보기
- 적용해보면서 느낀 점
나만의 글쓰기 파이프라인
- 소재 저장: 일상에서 메모하기
- 공부: 주제와 관련된 자료 조사
- 초안 작성: 제한 시간 내에 빠르게 초안 쓰기
- AI 피드백: LLM 서비스로 수정 및 보완
- 블로그 업로드: 초안 정리 및 게시
- 퇴고/피드백: 댓글과 반응을 통해 개선
글쓰기 집중 환경 조성과 꾸준히 실천하는 방법
1. 방해 요소를 치우자 🧹
글을 쓸 때 가장 큰 방해 요소는 SNS나 메신저를 무의식적으로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를 제한하기 위해 아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모각글/쓸모또 활용
- 글또에서 줌(Zoom)을 이용한 모각글로 글쓰기 집중 시간 확보.
- 쓸모또에서 화면 공유를 통해 실시간으로 글을 작성하며 집중력 유지.
- 휴대폰 방해 금지 모드 활용
- 휴대폰의 방해 금지 모드를 활성화하여 알림을 차단하고, 글쓰기에만 집중.
2. 나에게 맞는 물리적 환경을 찾자
집에서 글을 쓰면 늘어지거나 딴짓을 하기 쉬워, 주로 카페에서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기존에도 글을 쓰기 위한 특정 카페를 정해 활용하고 있었는데, 강의에서도 비슷한 방법을 권장했습니다.
저와 잘 맞는 물리적 공간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람이 많은 곳을 등지고 앉거나 창가 자리를 선호.
- 밝은 조명이 있는 곳.
3. 구체적인 행동 계획으로 습관 형성하자
구체적인 행동 계획은 습관 형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실천하지 못했을 때의 대안"까지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목표:
나는 평일 21시~22시 쓸모또에서 글 쓰기에 관련된 작업을 할 것이다.
만약 어려워지면, 그 주 주말 중 하루 16시~18시에 글쓰기를 한다.
글 쓰기 과정에 대한 나만의 템플릿을 만들어보자
1. 소재 공부 (개념, 코드)
- 글의 주제를 명확히 하고,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조사
- 주제와 관련된 개념, 코드, 문서 등을 깊이 이해한 뒤 글에 녹여내기
2. 예상 독자
- 글을 읽을 사람들을 상상하며, 그들의 수준과 관심사를 고려해 글을 구성
- 초보자, 중급 개발자, 특정 문제 해결을 원하는 사람 등 독자의 범위를 구체화
3. 목차 구성
- 글의 구조를 계획하고, 독자가 논리적인 흐름으로 글을 읽을 수 있도록 하기
- 각 목차의 핵심 내용을 한 줄로 정리해 구조를 명확히
4. 초안 작성
- 제한 시간 안에 글의 기본 틀을 완성
- 완벽에 집착하지 말고, 빠르게 작성하며 아이디어를 정리
초안 작성 후 체크리스트:
- AI와 셀프 피드백: LLM 도구나 스스로 피드백하며 초안을 개선
- 2차 글 수정: 논리적인 흐름과 문장 표현을 다듬기
- 이미지 그리기: 도표나 시각적 자료를 추가해 이해를 돕기
5. 퇴고
- 글의 문장, 맞춤법, 흐름을 점검하며 최종 완성도를 높이기
- 소리 내어 읽어보거나, 다른 사람에게 피드백을 요청
추가로 유용한 팁
- 시간 측정하기: 각 단계에 걸리는 시간을 기록해두면, 다음 글을 작성할 때 참고가 됩니다.
- 보상 시스템: 글쓰기를 완료했을 때 작은 보상을 설정하면 꾸준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예: 좋아하는 간식을 먹거나, 짧은 휴식 시간을 가지기.
앞으로의 나의 Action Item
- 소재 발굴 습관화하기
- 일상에서 아이디어를 떠올리면 즉시 메모하고 정리하기.
- 회사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내 방식으로 가공해 글로 작성해보기.
- 목차 구성과 초안 작성 시간 관리
- 글을 쓰기 전에 목차를 1~2줄로 정리하며 구조화하기.
- 초안 작성에 제한 시간을 설정해 빠르게 완성하기(예: 1~2시간).
- 집중 환경 조성하기
- 글쓰기 전 SNS와 메신저 알림을 끄고, 방해 금지 모드를 활용하기.
- 나에게 잘 맞는 장소(밝고 조용한 카페 등)에서 글을 작성하기.
- 퇴고와 피드백 적극 활용하기
- AI 피드백 도구를 활용해 글의 문법과 흐름을 점검하기.
- 소리 내어 읽거나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받아 최종적으로 다듬기.
- 꾸준히 글쓰기 실천하기
- 구체적인 시간 계획을 세워 주 1회 이상 글쓰기를 실천.
- 어려운 주간에는 주말 시간을 활용해 보완 작업을 진행.
이 글은 인프런 강의인 블로그 페이지뷰 300만이 알려주는 "실용주의 기술 블로그 글쓰기"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됐습니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 자라면 풀, 함께 자라면 숲! - "함께 자라기"를 읽고 (0) | 2025.02.10 |
---|---|
Git, 깃미남과 함께라면 무섭지 않아! (+글또❤️🔥) (1) | 2025.01.28 |
글또 10기 다짐글 (4) | 2024.10.03 |